칼럼 및 논설 371

새로운 교육을 기대하며[미래교육신문 최성광기고]

2022년 7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취임식을 갖고 업무를 시작했다. 지난 지방선거에는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광역의회의원과 기초의회의원, 국회의원 보궐선거까지 다양한 선거가 동시에 이루어진 만큼 유권자들은 여러 장의 투표용지를 받아 들고 신중한 선택을 해야 했다. 지방선거는 대통령 선거나 국회의원 선거와 달리 시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생활 정치를 펼치는 사람을 뽑는다는 점에서 다른 선거보다 가벼울 수 없다. 이번 선거는 다른 선거에 비해 투표율이 높지 않았다. 전문가들이 여러 원인을 분석해 내놓고 있지만 갈수록 정치에 대한 무관심과 혐오가 커진 탓이라 생각한다. 정치의 중심은 국민이어야 하며, 정치인은 국민의 삶이 보다 나아지도록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칼럼 및 논설 2022.07.20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를 아십니까[미래교육신문 김경선기고]

2020년의 경우 길었던 장마가 끝나고 폭염이 본격 시작된 8월 중순부터, 2021년은 폭염 특보가 가장 많이 내렸던 7월 중순에서 8월 초 사이에 온열질환자 수가 급증했다. 22년에는 평년보다 더운 날씨가 예상되는 가운데, 담양소방서는 119구급차와 펌뷸런스(소방 펌프차와 구급차를 합성)에 생리 식염수와 얼음 조끼, 정제 소금, 정맥주사 세트 등 폭염 구급 장비를 상시 비치하고 있다. 일사병과 열사병에 대해 알아보자면, 일사병(열탈진)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돼 몸의 온도가 37~40도까지 상승한 상태를 말한다. 열로 인해 땀을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하게 공급되지 못한 경우 발생하며 주로 두통과 어지럼증, 피로감, 무기력감,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열사병은 고온에 노출되어 올라간 몸의 기온이 밖으..

칼럼 및 논설 2022.07.20

역사란 무엇인가: E. H. CARR[미래교육신문 최서윤기고]

“역사란 역사적 중요성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선택의 과정이다. 무수한 인과적 전후관계들 중 역사적으로 중요한 것을 추출해 낸다(145p)” 내가 역사를 배우면서 인상 깊었던 메세지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와 “역사는 반복된다”이다. 역사는 과거를 기록한 것이며, 현재와 미래에 역사가 되풀이될 수 있으니 기억하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시대를 달리하며 같은 사건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일까? 나는 현재가 과거보다 더 발전되고 나은 세상이며, 미래는 현재보다 더욱 나은 세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나의 생각과 앞서 말한 두 문구는 모순되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역사의 정확한 정의와 모순적인 고민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이 책의 핵심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요..

칼럼 및 논설 2022.07.20

달팽이 집[미래교육신문 김미수필]

친구가 놀러 오며 상추 한 바구니를 뜯어 왔다. 부드럽고 연한 상추를 보니 밥맛이 당겼다. 얼른 먹을 요량으로 양념장을 만들어 놓고 상추를 씻었다. 한 잎 한 잎 씻다 보니 딱딱한 무엇인가 싱크대 아래로 툭 떨어졌다. 부드러운 잎 사이에 딱딱한 것이라니, 살펴보니 달팽이가 덤으로 함께 왔다. 씻던 일을 멈추고 달팽이를 한쪽으로 올려놓았다. 친구는 키득키득 웃었다. 농담을 좋아하는 그녀는 내 사정 알고 있기에 집 한 채 선물하려고 가져왔단다. 요즘 우리 부부는 집 때문에 고민이 많다. 그동안은 살림집이 따로 없었다. 이제는 집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남편은 살던 마을에 집을 짓고 싶어하지만, 갑자기 땅값이 천정부지로 올랐다. 살던 곳이라 만만하게 보았다가, 엄두도 못 낼 형편이 되었다. 집 지을 만..

칼럼 및 논설 2022.07.20

무궁화의 자존심[미래교육신문 박철한수필]

‘화무십일홍 권불십년(花無十日紅 權不十年)’이란 말이 있다. 열흘 동안 붉게 피어있는 꽃이 없고 권세는 십년을 넘기지 아니한다는 말이다.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일순간에 지고 마는 꽃에 비유한 그 말은 일시적인 권세나 부귀영화를 누리면서 결코 남을 업신여기거나 자만하지 말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백일홍(百日紅)’이란 이름의 한 해 살이 초화(草花)가 있는데 실제로 꽃이 백여 일 동안 핀다. 그렇다면 어떤 꽃이든 열흘을 넘기지 못하고 시든다는 말과 모순(矛盾)된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과 ‘백일홍(百日紅)’의 의미는 이렇다. ‘화무십일홍’은 한 송이의 꽃을 전제로 하는 말이며 ‘백일홍’은 한 그루의 식물체를 전제로 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국화과의 백일홍은 칠월부터 시월까지..

칼럼 및 논설 2022.06.15

마지막 빚[미래교육신문 김미수필]

어찌 인연이 되어 어르신들의 문해 강사를 수년째 하고 있다. 문해교실 대상자 어머니들은 대부분 농어민으로 어려운 시대에 태어났다. 몸을 농기구처럼 부리며 한 가정을 일구어 온 사람들이었다. 억세게 농사를 짓다 보니 몸은 고장 나 몇 번에 걸쳐 수리했다. 완전한 회복이 불가능하다 보니 어머니들은 바로 걷을 수가 없다. 아무리 용써도 한쪽으로 쏠려 불안한 게걸음을 걷는다. 그래도 못 배워 서러웠던 일을 생각하며 한 자라도 배워야 한다는 각오만은 대단했다. 공부시간에 누군가 사담이라도 할라 치며 시끄러워 집중이 안 된다며 단속하는 소리가 더 소란스럽다. 막판에 선생님은 뭐 하느냐고, 이럴 때는 칠판이라도 꽝 내려쳐 조용히 하게 하라고 엄포를 놓는다. 실은 그럴 줄 몰라 모른 체하는 것은 아니었다. 수업 중간에..

칼럼 및 논설 2022.06.15

평화와 공존의 길을 찾아[미래교육신문 최성광기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날 기미 없이 이어지고 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 국가들은 소련에서 분리 독립하여 미국과 영국 중심의 서방 기구인 나토에 가입하면서 러시아에 위협이 되었다. 러시아는 과거 소련의 영토와 강력한 영향력을 회복하려고 끊임없이 주변국을 포섭하였지만, 심지어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던 우크라이나까지 나토에 가입하려고 하자 결국 무력으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이다. 세계 6위의 강력한 군사력을 지닌 러시아에 대항해 미국와 영국 등이 지원하는 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분쟁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쟁을 비롯한 국제분쟁은 왜 끊이지 않을까? 전세계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국제분쟁은 약 60여 건에 달한다고 한다. 인류는 협력, 평화적 경쟁, 폭력 분쟁 중 더 유리한 상..

칼럼 및 논설 2022.05.11

빨라지는 세월을 늦춰라[미래교육신문 박철한수필]

20대 초반에 청운의 꿈을 안고 공직에 들어선지 40년 만에 출구를 벗어나게 됐다. 세상에 태어나서 여태껏 걸어 온 길을 되돌아 볼 때 크게 사회생활 전과 후로 나눌 수 있으리라. 그런데 주로 학창시절이었던 사회생활 이전 기간은 생각할수록 길게만 느껴지고 그보다 두 배 가까이 더 긴 사회생활 기간은 오히려 짧기만 하다. 학창시절은 사회생활보다 훨씬 오래되었음에도 그 기억 또한 더 생생하다. 즉 학교를 오가며 멱을 감거나 장난을 치던 초등학교 시절이나 중·고등학교시절의 기억이 그 이후에 경험한 사회생활의 기억보다 오히려 더 또렷하니 아리송할 뿐이다. 더구나 사회생활은 시간적으로 학창시절보다 훨씬 더 길었고 더 나중에 경험했다. 공간적으로도 첫 발령지인 경상북도 영양을 시작으로 총 4개 시군을 거쳤기에 그 ..

칼럼 및 논설 2022.05.11

첫걸음부터 한 발짝 두 발짝[미래교육신문 이가희기고]

더위가 한풀 꺾인 늦여름에 실무수습으로 첫 출근을 시작했다. 어느덧 겨울이 지나고 면사무소로 정식 발령을 받아 근무 중이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어두운 독서실에서 머리를 질끈 묶고 시험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아침 햇살을 맞으며 출근하는 내 모습을 보면 격세지감을 느낀다. 업무를 시작한 지 이제 4개월이 지났지만, 내 머릿속은 물음표로 가득하다. 지침을 보면 해결될 것 같았지만, 막상 업무를 하려고 하면 막막하다. 모든 복지 업무는 행복e음이라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이용해서 이루어지는데, 아직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에 익숙치 않아서 시스템 창이 하나씩 뜰 때마다 쩔쩔매고 있다. 복지용어도 다양하고 상담 내용을 기록하는 것도 쉽지 않다. 열심히 배우면서 한 발짝씩 걸음마를 내딛고 있다. 지금은 업무 ..

칼럼 및 논설 2022.05.11

Sapiens(사피엔스)[미래교육신문 최서윤기고]

“We hols these truths to be self-evident, that all men evolved differently, that they are born with certain mutable characteristics, and that among these are life and the pursuit of pleasure.” “우리는 다음의 진리가 자명하다고 본다. 모든 사람은 각기 다르게 진화했으며, 이들은 변이가 가능한 모종의 특질을 지니고 태어났고 여기에는 생명과 쾌락의 추구가 포함된다.” 이 책은 우리 시대 최고의 석학 유발 하라리가 인류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것을 총망라해 기술하고 분석한 인류의 위대한 기록이다. 농업혁명으로 발생한 빈부와 계급의 차이가, 과학혁명을 거치며..

칼럼 및 논설 2022.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