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및 논설

(고경택 기고) 선공후사(先公後私) 선사후공(先私後公)[미래뉴스&미래교육신문]

교육정책연구소 2020. 5. 29. 13:09

제주도교육청(감사관실) 고경택

 

당연히 공무 수행이 우선이고 사적인 일은 뒤로 미뤄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17세기 조선시대에는 선사후공(先私後公)을 지지하는 견해가 다수였다.

잠시 역사적 사실을 반추해보자. 조선시대 때 관례상 중국에서 사신이 오면 국왕은 모화관으로 행차하여 사신을 영접해야 했다. 현종 4(1663) 청나라 사신이 한양에 왔을 때 홍문관 수찬 김만균은 친할머니(연산 서씨)가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하였기 때문에 할머니 원수인 청나라 사신을 접대하는 일에 도저히 참여할 수 없다고 사직 상소를 올렸다.

그러나 김만균이 조모의 복수에 대한 의리를 내세워 청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왕에 대한 수행을 회피코자 한 사직 상소는 수리되지 않았고, 급기야 의금부에 하옥되고 파직되었다.

후에 김만균의 사직소 반려 및 파직을 두고 조선 조정은 이를 지지 또는 비판하는 세력으로 양분되어 버리는데, 이것이 조선 현종대의 공의(公義사의(私義) 논쟁이다.

서필원 등 선공후사(先公後私)의 공의론자들은 개인사를 일일이 용인하면 조정의 기강이 바로 잡히지 않고 국사를 담당할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하며, 사정보다는 공무의 수행을 우선하여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송시열과 그 문인 등 사의론자들은 청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왕을 수행하는 것보다 비록 사적이기는 하나 조모의 복수에 대한 의리를 지키게 하여 주는 것이 인심과 천리를 유지하게 하는 의리에 합당한 조치라고 하며, 서필원의 선공후사론을 반박하였다. 물론 사의론은 다수 의견이어서 당시 집권 서인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반면 공의론은 소수 의견으로 사의론자들로부터 강상윤리를 더럽히고 성현을 모독하였다고 공격을 받는다.

모름지기 공직자는 국민의 공복(公僕)으로서 사적인 이익보다는 공적인 일을, 자기보다는 주민을 먼저 생각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펼칠 때 선공후사의 청렴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을 것이다.

 

기사더보기: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2040000&gisa_idx=17478

 

#고경택 #제주도교육청 #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