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양로원으로부터 전보를 한 통 받았다. '모친 사망, 명일 장례식. 근조(謹弔).' 그것만으로는 아무런 뜻이 없다. 어쩌면 어제였는지도 모르겠다.
알베르트 카뮈의 대표작 이방인은 첫 시작부터 강렬하다. 어쩌면 이 문장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것 같다. 엄마의 죽음이 의미가 없다는 것은 매우 충격적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부모와 자식은 사회적 관계를 넘어 혈연으로 얽힌 긴밀한 사이이다. 그런데 엄마의 죽음이 의미 없다는 것은 사회적 기준과 도덕적 기준에 맞지 않다.
그럼에도 카뮈는 이 문장을 통해 사회가 정한 규범, 도덕, 법, 죽음에 대한 생각 등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엄마의 죽음에 슬픔을 느끼지 않는 것이 나쁜 일인가? 이후 전개되는 스토리 역시 ‘정상인’이 보기에는 다소 반사회적인 내용이 이어진다. 그럼에도 책 전체를 통해 던지는 카뮈의 메시지는 사회적 규칙에 맞서는 ‘나’의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 시작이 이 문장으로부터 출발하는 것 같다.
주인공 뫼르소는 엄마의 죽음을 접하고도 슬퍼하거나 의미를 두지 않았지만,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엄마의 장례식을 찾는다. 그런데 엄마의 장례식에서 슬픔보다 더위로 인한 짜증을 느끼고, 편안한 집으로 빨리 돌아가고 싶어 한다. 심지어 엄마의 죽음으로 얻은 휴가로 여자친구 마리와 해수욕을 즐기고 사랑까지 나눈다.
한편 뫼르소는 같은 아파트 이웃인 레몽과 친해지고 그의 옛 연인에게 복수하려는 계획을 돕는 중에 아랍인을 총으로 살해한다. 살인범이 되어 재판에 넘겨진 뫼르소는 자신을 변호하거나 재판 결과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자신이 죽는 날 ‘구경꾼들이 너무 적지는 않을까?'하는 걱정뿐이었다.
사람들은 한번쯤 사회의 규칙과 규범(인사, 타인 존중, 살인 금지 등)을 왜 따라야하는지 고민해 보았을 것이다. 인간이 사회를 만들었고, 사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규범과 규칙과 법을 만들었다. 그리고 인간은 사회적 기준에 적응해야한다. 그 기준에서 벗어난 인간은 부적응자 또는 ‘이방인’이 되는 것이다. 사회체제에 종속되어버린 ‘나’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가 의문으로 남는다.
가족이 죽으면 꼭 울어야 할까? 사회적 통념은 사회구성원들의 오랜 관습과 문화 속에서 화석화된 체제일 수 있다. 엄마가 죽으면 반드시 울어야 하는 것은 사회적 기준이며,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해 울 수도 있고 울지 않을 수도 있다. 타인을 기준으로 한 잣대보다 나 스스로의 주관과 기준이 중요하며, 그에 따른 책임도 마땅히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정치적으로 편을 갈라 동질 구성원 간 집단주의 문화를 형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지금도 선거철이며 사람들 간 패가 갈려 비난과 갈등을 일삼는다. 그 안에서 개인의 주체성과 가치가 얼마만큼 존중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미래세대는 카뮈가 던진 개인의 주체성에 대한 존중과 판단과 행위의 자유가 보장되는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구성원들의 성찰이 필요한 시기이다.
기사더보기: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2040000&gisa_idx=35881
'칼럼 및 논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심시간과 결혼식[미래교육신문 박철한수필] (0) | 2021.11.24 |
---|---|
매향비를 찾아서[미래교육신문 김미수필] (0) | 2021.10.13 |
교육계 오징어 게임[미래교육신문 최성광기고] (0) | 2021.10.13 |
배려(配慮)[미래교육신문 박철한수필] (0) | 2021.10.13 |
출세의 본질과 교육의 변질[미래교육신문 김수기논설]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