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및 논설

강江가에서 쓰는 시[미래교육신문 조기호시인]

교육정책연구소 2021. 7. 14. 15:54

조 기 호 시인

몸을 던져야

비로소 생겨나는

물무늬 같은 시를 쓰고 싶었다.

 

깊고 푸르러

발 디딜 수 없는 두려움으로

숯불처럼 바람을 머리에 이고

온몸 뜨겁게 데이며

물 위를 배회하는

그리움의 시,

 

가슴까지 젖는 어둑길을 따라 걸으며

땅 위의 모든 연민과 집착을 끊고 자르는

물풀 같은

순하고 착한 외로움으로

차마 돌려주지 못한 나머지의 죄송한 인연으로

목에 맷돌을 매달고

홀로 우는 시를 쓰고 싶었다.

 

언젠가 비스듬하게 꽂아 두고 온 내 꿈의

먼 산을 바라보며

부드러운 강江의 품에 고요히 숨결을 모으고

붉은 물빛으로 제 몸을 녹여내는

가난한 노을처럼

서로의 업장業障을 보듬고 녹이는

해원解寃의 시,

 

그러나

끝내 손 한번 잡아주지 못한 밤하늘을 향해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누군가를 평생 짊어져야 한다는

서늘한 업보業報에 대한

등짐 같은 시를 쓰고 싶었다,

 

-------------------- 【시작메모】 ----------------------------------

 

 

삶이 더러 안타까운 것은 끝내 도달할 수 없는 곳으로 끊임없이 우리를 이끌고 가는 ‘욕망慾望’이라는 애절한 꿈(?) 때문이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평생을 숫제 채울 수 없는 헛된 갈망으로 목마르게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럼에도 우리는 그 가닿을 수 없는 곳에 대한 열망을 포기하지 못한다. 새로워지기를, 더욱 풍성해지기를 바라는 그 길이 미처 우리가 생각지 못하는 외로움과 슬픔, 그리고 아픔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까닭이다.

문득, 나는 마침내 길이 끊어진 이 강가에 이르러 그동안의 외로움과 슬픔과 아픔을 죄다 부려놓고 싶었다. 아니 그 모든 것들은 정작 내 이름으로 누군가에게 지워준 등짐 같은 것일 수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제 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뭇 세월의 발등을 밟고서 그토록 얻으려고, 가지려고 아등바등했던 내 꿈의 안간힘들을 다독이며 가만가만 저무는 노을처럼 강 위에 눕고 싶어지는 것이었다.

 

기사더보기: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2060000&gisa_idx=34604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2060000&gisa_idx=34604

 

www.miraenews.co.kr

#조기호 #시인 #목포 #강가에서쓰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