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전북,제주

장휘국 교육감, ‘정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 관련 긴급기자회견(미래뉴스&미래교육신문 제공)

교육정책연구소 2016. 11. 28. 17:38



국정 역사교과서, 모든 역량 다해 강력 대응

장휘국 교육감, ‘정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관련 긴급기자회견

) -->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은 28일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 관련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강력 대응키로 했다.

장 교육감은 대통령과 그 측근들에 의해 자행된 국정농단 사태에 분노한 195만 명의 국민들이 지난 1126일 전국의 거리에서 촛불을 들었다헌정 사상 가장 많은 시위 인파가 거리를 가득 메웠지만 정부는 국민의 준엄한 외침을 새겨듣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가 국민의 반대 여론을 무시한 채 기어코 오늘(1128)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를 강행했다··고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감으로서 매우 유감스럽고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장 교육감은 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우리 사회가 이룩해 온 민주주의의 가치인 자율성과 다양성을 전면 부정하는 행위이며, 학생들에게 하나의 역사관만을 강제 주입해 무비판적 바보사람으로 키우는 우민화 교육정책이다“95% 이상의 현장 역사교사, 90% 이상의 역사학자가 반대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역대 최저인 국민 지지율 4%의 정권이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것은 심각한 역사의 퇴행이다고 지적했다.

특히 장 교육감은 국민의 생각​과 의견은 철저히 무시한 채 반헌법적, 비민주적, 반역사적, 반교육적으로 밀실에서 추진된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반드시 폐기 되어야 마땅하며, 결단코 교육현장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국정농단의 책임이 막중한 대통령과 정부가 추진한 국정교과서는 이미 신뢰를 잃었고, 국민적 사망선고가 내려진 상태다. 광주시교육청은 국정화 된 역사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모든 역량을 다해 강력 대응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국정화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해 장 교육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시작부터 현장검토본이 공개된 오늘까지 어떤 것도 공개되지 않은 밀실 정책이다국정교과서의 집필진과 편찬심의위원 비공개로 진행돼 국민의 알 권리가 철저히 무시당한 반면 8종의 검정교과서는 집필진 전원과 내용을 검토한 연구위원, 검정위원 명단까지 모두 공개했다고 제기했다.

이어 장 교육감은 오늘 공개된 현장검토본의 의견 수렴 절차도 비공개 접수형으로 진행된다}의견을 개진하기 위해서는 EPKI인증서, 휴대폰, 아이핀 등을 통해 본인인증을 거쳐야 하며 자신의 의견만 써서 비공개로 접수하는 방식이다. 타인의 의견을 볼 수 없어 활발한 댓글 토론은 기대조차 할 수 없는 깜깜이의견 수렴이다고 지적했다.

장 교육감은 현장검토본은 왜곡축소와 누락, 친일과 독재의 미화로 얼룩져 있다특히 1948대한민국 정부 수립대한민국 수립으로 고쳐 기술해 뉴라이트들이 주장하는 건국절 개념을 그대로 수용했다.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전면 부정하는 반헌법적인 시각이며, 항일투쟁의 역사를 폄훼하는 반역사적 시도다고 꼬집었다.

이외에도 장 교육감은 동학농민혁명은 별도의 성취기준을 구성하지도 않았고, 5·18민주화운동은 역사적 진실과 실체를 축소했다일제의 침략은 식민지근대화론을 내세워 포장·왜곡한 반면 자랑스런 독립운동사는 크게 위축됐다. 또 박정희 유신 독재를 경제개발이라는 미명으로 미화하고, 경제성장과 새마을운동을 강조하는 등 박정희 정권의 긍정적 측면만 부각시켰다고 덧붙였다.

장 교육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에 따른 대책으로 광주의 전체 90개 중학교에서 국정교과서를 채택하지 않고 앞으로도 국정제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대해서는 대금을 지급하지 않을 것이고, 고등학교는 기 주문교과서를 주문 취소하고 모든 한국사 교과서의 구입 대행업무 거부 고등학교의 경우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학교별로 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를 미편성하고, 그에 따른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학교에 대해서는 적극 지원 국정교과서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국정교과서 검토회의 및 현장검토교사 검토 과정 참여 단호히 거부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전체 중등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연수를 추진하며, ‘역사과 교수-학습 자료 TF을 구성해 수업 활용 자료 개발·보급 친일부역자사전 및 민주화운동열전을 제작·배포하고, 현장체험 중심의 역사교육 강화 4개 교육청(광주, 전북, 강원, 세종)이 역사교과서 보조교재를 공동 개발·배포해 우리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 정체성을 세울 수 있도록 돕기 학부모 및 시민사회단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국회와의 연대를 통해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중단 법안 통과에 최선의 노력 등을 전개하기로 했다.

/허광욱 기자

미래뉴스기사보기:  http://www.miraenews.co.kr/main